병역명문가에 대해서 아시나요? 단어 뜻대로 해석을 한다면 병역에서 명문인 가문인거 같은데요.
군 복무 기간 동안 계급이 높았던 사람들의 가문을 말하는 거 같기도 합니다.
그런데 생각하는 것과는 다른 숨겨진 뜻과 혜택이 있습니다.
병역명문가란 무엇이면 조건 혜택 신청방법 홈페이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병역명문가란
우리나라의 병역제도는 1949년 「병역법」 공포 이후 75년간 국가를 지키는 핵심 역할을 해왔다. 특히 6.25전쟁 같은 국가적 위기 상황 속에서 할아버지, 아버지, 형제들은 묵묵히 병역의무를 다하며 나라를 지켜왔다. 하지만 이들의 헌신과 희생을 기리기 위한 특별한 행사는 부족했다.
이를 개선하고자 병무청은 2004년부터 ‘병역명문가 선양사업’을 시작했다. 병역명문가는 3대(조부, 부모 세대, 본인 세대의 남성)가 모두 현역복무 등 병역의무를 성실히 마친 가문을 뜻한다.



병역명문가 조건


병역명문가에서 3대란 조부와 부·백부·숙부 그리고 본인·형제·사촌형제 등 조부의 직계비속 남자 모두 현역복무 등을 성실히 마친 가문이다.
가족 구성원이 장교, 부사관, 병사로 징집되거나 지원하여 현역 복무를 마친 경우.
의무복무 기간 이후에도 계속 복무 중인 군인.
비군인 신분으로 6.25전쟁에 참전한 국민방위군이나 학도의용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경우.
군 의무복무를 마친 여성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병역명문가 혜택
대통령 기념품 전달
병역명문가증 발급
병역명문가 시상식(5월 중)
「병역명문가 명예의 전당」 영구 게시
병역명문가 안보현장 견학
병역명문가 증서ㆍ패 수여식(지방병무청, 6~7월)
병역판정옴부즈만, 정책자문위원 등 병무행정 참여
병적증명서에 「병역명문가」 표기 발급
병역명문가 사망 시 조화 전달
지방자치단체 「병역명문가 예우 등에 관한 조례」 제정
현충일 기념식, 국군의 날 등 주요행사 초청
입장료, 주차료, 이용료 등 면제 또는 할인
국가ㆍ지자체ㆍ민간 시설 이용 시 예우



병역명문가 신청방법
매년 3월 중 신청서 접수, 4월 중 선정
호국보훈의 달인 6월 중 실시(2007년 이전 9월 중)
준비가족 구성원의 군 복무 이행을 증명할 수 있는 관련 서류를 준비
신청서 제출 장소에 제출
관할 군부대, 지방자치단체, 병무청 홈페이지(온라인)
가족 구성원의 검토병역명문가 기준 충족 여부 확인
승인 및 결과 통보심사가 완료되면 승인 결과가 신청자에게 통보
병역명문가 홈페이지
아래 병역명문가 홈페이지에서 더 자세한 내용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병역명문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우리가 모르는 여러가지 제도가 있어서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혹시 해당 사항이 될지 모르니 알아보고 혜택 받으시기 바랍니다.








